[Daily morning study] Ansible의 역할과 Terraform과의 차이 (Configuration Management vs. Provisioning)
#daily morning study
Ansible의 역할과 Terraform과의 차이 (Configuration Management vs. Provisioning)
Ansible과 Terraform은 오늘날 IT 인프라 관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 도구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이 두 도구의 역할, 기능, 그리고 서로 다른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Ansible
Ansible 개요
Ansible은 간단하고 강력한 구성 관리 도구입니다.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구성 및 다양한 자동화 작업에 사용됩니다. Ansible은 에이전트가 필요 없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SSH(안전한 쉘 프로토콜)를 통해 관리 대상 시스템에 연결합니다.
주요 기능
- 구성 관리: 시스템의 설정을 정의하고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배포: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여러 서버에 간단하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통합: AWS, Azure 등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구성 요소
- Playbook: Ansible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 YAML 형식으로 작성된 스크립트입니다. 여러 작업을 정의하고 orchestrate합니다.
- Inventory: 관리할 서버의 목록을 정의합니다. IP 주소 또는 호스트 이름을 포함합니다.
- 모듈: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조각으로,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명령을 전달합니다.
간단한 Example
아래는 웹 서버를 설치하는 Ansible Playbook의 예시입니다.
- name: Install and configure web server
hosts: webservers
become: yes
tasks:
- name: Install Apache
yum:
name: httpd
state: present
- name: Start Apache
service:
name: httpd
state: started
Terraform
Terraform 개요
Terraform은 인프라를 코드(Infrastructure as Code)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인프라 자원(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을 쉽게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주요 기능
- 프로비저닝: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모든 자원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 상태 관리: 모든 인프라 자원의 현재 상태를 기록합니다. 이를 통해 변경 사항을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 모듈화: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모듈화된 구성을 지원합니다.
기본 구성 요소
- Configuration Files: Terraform의 설정 파일은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 Providers: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와 연동하여 리소스를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 State File: 현재의 인프라 상태를 저장하는 파일로, Terraform이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간단한 Example
아래는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Terraform 코드 예시입니다.
provider "aws" {
region = "us-west-2"
}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ami-0c55b159cbfafe1fe"
instance_type = "t2.micro"
tags = {
Name = "MyExampleInstance"
}
}
Ansible vs Terraform
| 특성 | Ansible | Terraform |
|---|---|---|
| 목적 | 구성 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 | 인프라 프로비저닝 (Provisioning) |
| 작동 방식 | 에이전트가 필요 없는 SSH 기반 | 상태 파일 기반 |
| 언어 | YAML | HCL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
| 상태 관리 | 무상태 (Stateless) | 상태 관리 (State Management) |
| 배포주기 | 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 선언적으로 인프라를 정의하고 변경 사항을 관리 |
결론
Ansible과 Terraform은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둘 다 자동화와 관리를 통해 인프라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Ansible은 구성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Terraform은 인프라의 프로비저닝 및 상태 관리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그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nsible은 일관된 구성 관리에, Terraform은 자원 생성과 변경 관리에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