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morning study] SQL vs. NoSQL 데이터베이스 비교 (언제 무엇을 써야 하는가?)

#daily morning study

Image


SQL vs. NoSQL 데이터베이스 비교 (언제 무엇을 써야 하는가?)

개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및 NoSQL(Not Only SQL)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방식이 다릅니다. 이 가이드는 두 가지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 장단점, 사용 사례를 정리하여 언제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SQL 데이터베이스

정의

  • SQL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구조화된 방식으로 저장합니다.
  •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며, 각 테이블은 행과 열로 구성됩니다.

특징

  • 스키마: 정해진 스키마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 형이 명확합니다.
  • ACID 속성: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고립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을 보장합니다.
  • 관계: SQL에서는 여러 테이블 간의 관계를 외래 키(foreign key)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장점

  •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쉽습니다.
  • 복잡한 쿼리 처리에 강합니다.
  • 표준화된 SQL 사용으로 여러 시스템에서 호환성이 높습니다.

단점

  • 데이터 모델의 변화가 어려워서 유연성이 떨어집니다.
  • 수평적 확장이 힘들어 큰 데이터 처리에 제약이 있습니다.

사용 사례

  • 금융 시스템, 재고 관리 시스템, ERP 시스템 등 데이터 무결성이 중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NoSQL 데이터베이스

정의

  • NoSQL 데이터베이스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적합합니다.
  • 문서형, 키-값 쌍, 그래프, 컬럼 패밀리 등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지원합니다.

특징

  • 유연한 스키마: 스키마가 없어 데이터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 CAP 정리: Consistency, Availability, Partition tolerance 중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 수평적 확장성: 서버를 추가함으로써 성능을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장점

  • 데이터 구조가 유연하여 빠른 개발이 가능합니다.
  •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 스케일 아웃(Scale-out)이 용이하여 자동차업계, 게임, 소셜 미디어 등에 적합합니다.

단점

  • 데이터 무결성을 완벽히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 복잡한 쿼리가 필요한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 사례

  • 빅데이터,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 IoT 등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SQL과 NoSQL의 비교

특성SQLNoSQL
데이터 모델관계형비관계형
스키마고정 스키마유연한 스키마
쿼리 언어SQL각 DBMS마다 다름
ACID 지원강력한 지원일부 지원 (BASE 모델)
확장성수직적 확장수평적 확장
사례ERP, 금융 시스템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결론

SQL과 NoSQL 데이터베이스는 각기 다른 요구 사항과 사용 사례에 맞춰 설계되었습니다.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지는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 데이터의 성격, 대량의 트래픽 및 데이터 무결성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 SQL을 선택할 때는 데이터 무결성이 중요하고, 복잡한 쿼리가 필요할 때입니다.
  • NoSQL을 선택할 때는 유연성이 필요하거나 대량의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어야 할 때입니다.

각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선택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